Saturday, June 16, 2012

영화 행복(2007) - 삶의 영원한 화두인 죽음

2007년에 만들어진 한국 영화 <행복>을 보았다. 허진호 씨가 감독하고 황정민 씨, 임수정 씨가 주연한 영화다.

이 글에는 영화의 줄거리가 부분적으로 언급되므로 영화를 안 본 분은 읽지 말고, 영화를 보기를 권한다.

난치병 또는 불치병을 앓는 두 남녀가 만나 사랑을 한다. 물론 진정한 의미의 사랑, 즉, 깨달은 자만이 할 수 있다는 존재 간의 깊은 연대감 같은 건 아니고, 지극히 일반적인 남녀 간의 사랑이다. 예쁜 여주인공의 매력에 남주인공(관람자인 나도 포함하여)이 매혹되었다. 서로의 호감을 확인하며 마음 설레였고, 성관계에서 긴장감, 육체적 쾌락과 함께 정신적 일체감을 느꼈다. 서로를 좋아한다고 속삭이고 서로를 필요로 한다는 고백을 나누면서, 지극히 통속적인 사랑일지언정 영혼의 교감 같은 것을 느끼는 듯하다.

깊은 병을 앓고 있는 두 사람이었기에 근처 골목을 걷다 모퉁이를 돌 때에도 죽음의 그림자를 엿본다. 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사랑하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두 사람은 죽음의 공포와 절망과 함께, 살아 있는 지금의 행복을 소중하게 생각한다.

연인 중 한 사람의 병이 호전되자 그 사람은 다시금 삶에 대한 시각이 바뀐다. 내일을 생각하고, 내일을 대비하려 하고, 자신과는 달리 여전히 아픈 연인의 곤경한 지경에 짜증을 느낀다. 그리하여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 죽음을 잊고 밝고 명랑하며 '미래가 있는' 삶을 살아보려고 한다. 그러나 '내일'이란 존재하지 않는 허상임을 알지 못하는 일상에서 행복을 찾기란 매우 어렵다.

시원한 물 한 잔을 마시며 진정한 행복을 맛볼 수 없다. 양주를 들이켜 봐야 허무함은 메울 수 없다. 육체적, 정신적 쾌락을 추구해 보지만, 쾌락의 시간이 지나면 목마름은 더 깊어질 뿐이다. 결국은 일상에 매몰되어 하루 하루를 보낸다.

병이 호전된 연인을 떠나보내고 남은 사람은 또 다른 고통을 느낀다. 버림 받은 것 같은 느낌, 자신의 존재 의미가 없어진 듯한 느낌을 비롯하여, 병으로 인한 육체적 고통과 죽음에 대한 정신적 부담이 다시금 깊게 느껴진다. 심심함도 있을 것이다. 외로움도 있을 것이다. 떠나간 연인이 다시 돌아올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가져보지만 충족되지 않는 목마름이다.

이 영화는 주인공들이 죽음의 문턱에 이르러 무엇을 느끼고 어떤 깨달음을 얻는지를 보여 주진 않는다. 어쩌면 죽기 직전까지도 깨달음 같은 건 없을지도 모른다. 죽는 순간까지도 '내일'과 '물질'의 허상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진정한 평화를 느끼지 못할지도 모른다. 그 점을 생각해 보면 삶이란 참으로 힘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바다와 같은 평화와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샘솟는 기쁨은 운 좋게 그냥 얻어지는 법이 없다.

그렇다고 나와 당신의 일상이 항상 고통스러운 것은 아니다. 다만 무료하고, 활기가 없고, 욕망을 추구하지만 충족되지 않을 뿐이다. 약간의 갈증이라고 할까? 그러한 약간의 갈증 상태가 계속 지속되니까 가끔씩 불같이 화를 내고 짜증을 부린다. 이러다가 약간의 쾌락을 느끼면서 갈증을 잠시 잊는다. 그런 상태이므로 두 연인 간의 유대감은 지속되지 않을 뿐 아니라, 혼자 있을 때보다 화와 짜증이 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두 연인이 함께 살기로 결정하며 행복한 미래에 대한 기대에 가득차 있을 때 이 영화의 주제곡인 한대수의 '행복의 나라로'가 흘러 나온다. 이 노래는 고통스러운 마음을 달래주고 행복의 희망을 갖게 한다. 이 노래에도 행복의 실마리가 들어 있다. 눈을 뜨라는 것이다. 산들바람의 시원함을 느껴 보라는 것이다.


주제가 '행복의 나라로' 듣기

장막을 걷어라
나의 좁은 눈으로
이 세상을 떠보자
창문을 열어라
춤추는 산들 바람을
한번 또 느껴보자
...
나는 행복의
나라로 갈테야

이 노래에서 반복되는 부분인 '행복의 나라로 갈테야'는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다. 실제로 '행복의 나라'는 저기 어딘가에 있는 곳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일단 내가 있는 이곳은 행복의 나라가 아니라고 생각하면서, 저 멀리 행복의 나라로 떠나고 싶어한다. 그러나 어디를 가더라도 인간의 원죄, 즉, 스스로 만들어 낸 고통을 자신에게 가하는 행동은 사라지지 않는다. 이 노래는 행복의 실마리를 보여주는 동시에, 행복을 찾지 못하는 불쌍한 우리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영화를 보며 엉엉 울고 깊은 감동을 받았지만 여전히 나도 행복의 나라를 찾지는 못했다. 그래도 죽음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며,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버리고 내가 늘 하고 싶었던 것을 해 보자는 생각을 했다.

내가 늘 해보고 싶은 것, 내가 죽기 전에 해 보고 싶은 것은 남태평양의 따뜻한 섬 해변에서 물고기를 잡고 조개를 따서 먹고 살아 보는 것이다. 식량 구하기 힘들므로 칼로리 과잉으로 인한 어처구니 없는 비만이 사라지고, 여러 시간 동안 힘들여 잡은 작은 물고기를 구워 먹을 때 그 깊은 맛과 함께 눈물의 맛을 느끼며, 마실 물이 부족하던 차에 하늘에서 쏟아져 내리는 빗물을 온몸으로 느껴 보고 싶다. 그곳이 나의 '행복의 나라'이다. 그러나 그곳은 '행복의 나라'가 아니다.

내 머리속을 계속 맴도는 여주인공의 말을 상기해 본다.
왜 어떻게 될지도 모르는데 앞날을 걱정해?
오늘 하루 잘 살면 그걸로 됐지.
그리고 내일 또 잘 살고.
난 나중 같은 거 몰라.

No comments:

Post a Comment